반응형

비트코인 반등했지만 여전히 약세 흐름

트럼프 관세 여파 지속

 

 

비트코인이 주초 반등에 성공하며

7만9,000달러를 소폭 상회했지만,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의 하락세는 여전하다.

 

 

 

 

핵심 요약

  • 비트코인, 월요일 오후 2시 35분(EDT 기준) 기준  0.4% 상승해 약 78,657달러에 거래
  • 같은 날 장중 최저치인 74,524달러까지  하락한 뒤 일부 회복
  • 지난 토요일 고점(84,249달러) 대비 6.6% 하락
  • 1월 트럼프 취임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 109,026달러 대비 약 28% 하락
  • 선거 직후 상승분 대부분 반납, 선거 다음 날 돌파했던 75,500달러선 근처로 회귀

추천 해외 거래소 및 수수료 페이백(환급) 혜택

 

수수료 페이백(환급) 가능한 해외거래소 가입링크입니다!

가입하시고 수수료 환급 혜택 가져가세요!

 

 

[빙엑스 거래소] - 페이백 30% 혜택

추천인코드: FD7ZBILU

https://bingx.com/invite/FD7ZBILU/

 

 

빙엑스 수수료 30% 페이백 바로가기

 

 

 

 

 

[바이낸스] - 페이백 10% 혜택

추천인코드: RVYD09GW

https://accounts.binance.com/register?ref=RVYD09GW

 

Binance - Cryptocurrency Exchange for Bitcoin, Ethereum & Altcoins

3 How to buy Bitcoin and other cryptocurrencies on Binance

www.binance.com

 


 

 

 

이더리움·알트코인도 동반 하락세

  • 이더리움(ETH): 1.2% 하락해 1,557달러…2023년 10월 21일 이후 최저치
  • XRP: -4.9% BNB: -0.3%
  • 솔라나(SOL): -1.5%
  • 트론(TRX): -2%
  • 도지코인(DOGE): -3%

 

 

일부 알트코인은 최근 몇 시간 동안 소폭 반등했지만

전반적인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관세가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스탠다드차타드 디지털 자산 리서치 책임자

제프 켄드릭(Geoff Kendrick)은

"현재 시장에는 잡음이 많다"며 투자자들이

미국 시장의 높은 변동성을 우려해

암호화폐에서 손을 떼고 있다고 분석했다.

 

칼라단(Caladan) COO 줄리아 저우(Julia Zhou)는

블룸버그에 “암호화폐는 전통적으로 리스크 자산에 대한

선행 지표 역할을 한다”며

 

“트럼프의 관세가 주식시장에 충격을 주면서,

암호화폐는 더 큰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주식시장, 시총 4.9조 달러 증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직후 발생한

이틀간의 증시 폭락은 S&P 500 상장 종목의

시가총액 4.9조 달러 이상을 증발시켰다.

 

 

 

‘암호화폐 수도’ 선언했던 트럼프의 행보

트럼프는 2024년 대선에서 미국을 ‘세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고 공약 SEC(미 증권거래위원회)의

규제 완화를 주장하며 암호화폐 산업을 옹호

 

 

트럼프 당선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선거 직후 80K, 90K, 100K를 돌파하며

고점을 갱신, 취임식 당일 사상 최고치 달성

 

캠페인에는 윙클보스 형제(Gemini), 크리스 라센(Ripple) 등

암호화폐 업계 주요 인사들이 재정 후원

 

 

 

‘암호화폐 전략 비축 계획’ 논란도

지난달 트럼프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XRP, 솔라나, 카르다노 등

주요 암호화폐로 구성된 ‘암호화폐 전략 비축(reserve)’ 계획을

발표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정부의 디지털 자산 전략은 비트코인 하나만으로 충분하다”며

“비트코인이 금을 대체할 유일한 수단”

이라고 주장하며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전망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親)암호화폐 정책 기대감과,

관세로 인한 글로벌 거시경제 불안정이라는

상반된 흐름 속에서 방향성을 모색 중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높은 변동성과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