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트럼프 대통령과 가족의 암호화폐 문제

 

[워싱턴 D.C] 2025년 5월 13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관련 이해충돌이 그의 정책 추진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상원에서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인 ‘GENIUS 법안’이 부결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인 암호화폐 사업이 주요 반대 사유로 지목되었다.

 


추천 해외 거래소 및 수수료 페이백(환급) 혜택

 

수수료 페이백(환급) 가능한 해외거래소 가입링크입니다!

가입하시고 수수료 환급 혜택 가져가세요!

 

 

[빙엑스] - 수수료 45% 페이백 가입 링크

추천인아이디: FD7ZBI

https://bingx.com/invite/FD7ZBIEQ/

 

 

[비트겟] - 수수료 20% 페이백 가입 링크

https://partner.bitget.com/bg/gdk9n78t

 

 


 

 

민주당의 제프 머클리 상원의원(오리건)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과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은 이들이

그가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암호화폐를 구매함으로써

그를 직접적으로 부유하게 만들 수 있다”며

“이는 극도로 부패한 방식이며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정부에 대한 신뢰를 훼손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문제의 중심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1월

취임 직전 출시한 밈 코인 $TRUMP가 있다.

 

이 코인은 최근 ‘대통령과의 만찬 및 VIP 백악관 투어’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가격이 급등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 가치를 수십억 달러 증가시켰다.

 

이에 대해 리처드 블루멘탈 상원의원(코네티컷)은

“명백한 대가성(play-for-pay) 방식”이라고 비난했다.

멜라니아 여사 또한 별도의 코인($MELANIA)을 출시한 상태다.

 

이번에 부결된 GENIUS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위한

연방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본래 해당 법안에 찬성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이해관계가 명확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돌연 반대로 돌아섰다.

 

특히 리사 블런트 로체스터 상원의원(델라웨어)은

성명에서 “트럼프 일가가 지속적으로 개인적인 금전적 이익을 위해

자산을 이용하고 있다”며 반대 이유를 분명히 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가족은 World Liberty Financial이라는

암호화폐 기업을 통해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한 상태다.

 

문제는 이 스테이블코인이 아부다비 기반의 MGX 그룹을 통해

바이낸스에 20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는 데 활용된 것으로 알려지며,

외국 자본과의 연결 문제까지 불거지고 있다.

 

민주당은 이를 막기 위해

‘암호 부패 종식법(End Crypto Corruption Act)’이라는

새로운 법안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대통령과 고위 공직자, 가족들이

암호화폐를 발행하거나 홍보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핀테크 벤처 캐피털 기업 Launchpad Capital의 설립자

라이언 길버트는 “정책 추진에 대통령의 개인적인 사업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정부 전체가 이런 이해충돌에서 물러나야

진짜 좋은 정책이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미국 내 암호화폐 산업뿐 아니라

글로벌 투자자 신뢰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런 식으로 백악관이 개인 자산의 홍보 수단으로 이용된다면,

우리는 국제사회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고

블루멘탈 상원의원은 말했다.

 

그는 현재 $TRUMP와 관련된 재정 기록 제출을 요구하며

공식 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이번 GENIUS 법안은 60표 이상이 필요했지만,

최종 투표 결과는 48대 49로 부결됐다.

3명의 상원의원이 투표에 불참했다.

 

한편, 백악관 측은 관련 질문에 대해

“대통령은 모든 이해충돌 법률을 준수하고 있다”며

“성공한 사업가로서의 경험이 그를 대통령직에 재선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측은 암호화폐 규제 입법의 필요성을 여전히 강조하고 있으며,

조만간 더욱 강력한 개정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